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회사에서 이유 없이 해고당하셨나요?
‘말도 안 되는 해고’라고 생각되신다면, 지금 당장 부당해고 구제신청서를 작성해 노동위원회에 접수하세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부당해고 구제신청서 양식과 함께, 실제 작성 방법과 유의사항까지 꼼꼼히 알려드립니다.
1. 부당해고 구제신청이란?
부당한 해고를 당한 근로자가 노동위원회에 신청하여, 해고의 부당함을 인정받고 복직 또는 금전 보상을 요구할 수 있는 법적 절차입니다.
📌 신청 기한 주의!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
2. 부당해고 구제신청서 양식 (예시)
다음은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표준 구제신청서 양식입니다.
항목 | 기재 내용 |
신청인 |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
사용자(회사) | 회사명, 대표자, 사업장 주소, 연락처 |
해고일자 및 경위 | 해고된 날짜, 통보 방식, 사용자의 해고 사유 |
근로관계 내용 | 입사일, 직무, 고용형태, 근무 조건 등 |
해고의 부당성 | 해고 사유가 부당한 이유, 관련 증거 |
구제 요청 내용 | 복직 요청, 해고 무효 확인, 임금 보전 등 |
첨부 서류 | 근로계약서, 급여명세서, 해고통보서 등 |
서명 | 신청일자, 신청인 서명 또는 날인 |
🔗 서식 다운로드 : 예스폼 부당해고 구제신청서 양식 바로가기
3. 작성 요령 및 팁
1) 해고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 확보
문자, 이메일, 카톡 등 해고 통보 기록
- 출퇴근기록부, 근무일지, 임금명세서
2) 구체적으로 해고 경위 작성
"구두로 해고 통보받음"보다는
→ “2025년 6월 1일 오전 10시경 팀장으로부터 '이번 달까지만 근무하라'는 문자 통보”라고 자세히 기재하세요.
3) 감정적 표현은 지양, 사실 위주 작성
- 억울함은 분명하지만, 논리적이고 구체적인 표현이 중요합니다.
4. 접수 방법
- 방문 접수 : 각 지방노동위원회 직접 방문
- 우편 또는 팩스
- 온라인 접수 : 정부 24 또는 고용노동부 민원포털 이용
💡 TIP : 서류는 2부 제출이 원칙이며, 접수증 보관 필수!
부당해고는 결코 참고 넘겨야 할 일이 아닙니다.
정당한 권리 행사,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바로 실천하세요!
필요하다면 전문가나 노무사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반응형